본문 바로가기
DevOps

[패스트캠퍼스|AWS강의] Jenkins 배포 및 파이프라인

by DEV Lee 2021. 3. 21.

수강 클립

Ch03. Jenkins 배포 및 파이프라인#3

Ch03. Jenkins 배포 및 파이프라인#3 (실습)

Ch04. AWS Server - RDS 설정 - 1


Jenkins 배포 및 파이프라인

지난 시간에는 젠킨스 프로젝트 세팅, 깃 정보를 가져오는 것 까지 했다. 이번 시간에는 배포에 대해 진행할 것이다.

먼저 배포를 위해서는 플러그인을 설치해주어야 한다. 젠킨스 메인화면>젠킨스 관리>설치가능 탭을 눌러보자

Publish Over SSH를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한다. 실제로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젠킨스가 대행하여 수행해주는 기능이다. 깃에서도 그렇게 설정해주는것이 중요했던 것 처럼 AWS에 현재 정보들을 가지고 있는데, AWS 키 정보를 세팅해주면 파일질라 혹은 SSH로 접속하지 않아도 바로 WAR 파일을 올릴 수 있게 된다. Publish Over SSH는 그 과정을 대신 진행해줄 수 있는 패키지중 하나이다.

설치를 하면 다음과 같은 '플러그인 설치/업그레이드 중' 화면이 나온다. 모드 설치가 완료되면 젠킨스를 재시작하거나 메인페이지로 돌아가면 된다. 

 

SSH 정보를 세팅하기 위해 또 해야할 것이 있다.

젠킨스 관리>시스템 설정

하단부분으로 내려가보면 위 사진과 같이 Publish over SSH가 생겨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정보를 세팅해주어야 한다.터미널에서 SSH와 관련있는 키 정보를 세팅해주어야 한다.

 

터미널에 접속해서 ssh-keygen -t rsa 를 누르고 엔터를 누르면 키 정보를 생성하겠다 하는 것이 나온다. 엔터키를 쳐서 해당 위치를 확인해준다. 보통은 home 아래에 ssh 키가 생긴다.이 키가 필요한 이유는 젠킨스에서 AWS키 정보와 자신의 키 정보 두 가지를 가지고 있어야 상호 확인이 되기 때문이다.마지막에 키 프린트로 키가 나오는데, 이걸로 키를확인해주면 된다.

 

cat /Users/로컬/.ssh/id_rsa.pub 라는 파일을 cat 명령어로 읽어보면 파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 있는 정보가 키 정보이고, 붙여넣어 사용하면 된다.권한 설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세 가지 권한 정보를 세팅해준다.

복사했던 키 정보를 Passphrase에 붙여넣기 해 준다.Path to key 에는 키의 위치정보를 세팅해준다. id_rsa가 있는 부분의 path를 넣어주면 된다.
SSH Servers 에는 AWS Tomcat정보를 세팅해줬던 해당 인스턴스 경로를 입력해주면 된다. ssh에서 name은 tomcat(달라져도 상관 없다), Host name은 실제로 서버에 톰켓을 설치했던 경로, Username은 ec2의 username, tomcat을 설치했던 경로가 /opt/tomcat경로였는데 이 경로를 Remote Directory에 작성해주면 된다. 톰켓이 설치되어있지 않으면 여러 세팅을 새로 진행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 폴더명을 잘 외워둬서 위와같이 세팅해주는 것이 편하다..User password authenication, or use a different key를 체크해주면 하단에 더 입력해 줄 수 있는 창이 생긴다. 여기에 pem이라는 aws에 접속할 수 있는  key가 있는 곳의 풀 경로를 입력해주면 된다.  하단에 test configuration버튼을 클릭하여 성공적으로 접속이 되는지 확인해주면 된다. 이 모든 과정이 끝나고 저장을 하면 AWS에 접속할 수 있는 SSH 세팅이 완료된다.

 

 

 

 

 

AWS/Docker 실전 클라우드 서버 구축 올인원 패키지 Online. | 패스트캠퍼스

성인 교육 서비스 기업, 패스트캠퍼스는 개인과 조직의 실질적인 '업(業)'의 성장을 돕고자 모든 종류의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No. 1 교육 서비스 회사입니다.

www.fastcampus.co.kr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