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 클립
Ch03. Jenkins 배포 및 파이프라인#3
Ch03. Jenkins 배포 및 파이프라인#3 (실습)
Ch04. AWS Server - RDS 설정 - 1
Jenkins 배포 및 파이프라인
지난 시간에는 젠킨스 프로젝트 세팅, 깃 정보를 가져오는 것 까지 했다. 이번 시간에는 배포에 대해 진행할 것이다.
먼저 배포를 위해서는 플러그인을 설치해주어야 한다. 젠킨스 메인화면>젠킨스 관리>설치가능 탭을 눌러보자
Publish Over SSH를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한다. 실제로 서버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젠킨스가 대행하여 수행해주는 기능이다. 깃에서도 그렇게 설정해주는것이 중요했던 것 처럼 AWS에 현재 정보들을 가지고 있는데, AWS 키 정보를 세팅해주면 파일질라 혹은 SSH로 접속하지 않아도 바로 WAR 파일을 올릴 수 있게 된다. Publish Over SSH는 그 과정을 대신 진행해줄 수 있는 패키지중 하나이다.
설치를 하면 다음과 같은 '플러그인 설치/업그레이드 중' 화면이 나온다. 모드 설치가 완료되면 젠킨스를 재시작하거나 메인페이지로 돌아가면 된다.
SSH 정보를 세팅하기 위해 또 해야할 것이 있다.
젠킨스 관리>시스템 설정
터미널에 접속해서 ssh-keygen -t rsa 를 누르고 엔터를 누르면 키 정보를 생성하겠다 하는 것이 나온다. 엔터키를 쳐서 해당 위치를 확인해준다. 보통은 home 아래에 ssh 키가 생긴다.이 키가 필요한 이유는 젠킨스에서 AWS키 정보와 자신의 키 정보 두 가지를 가지고 있어야 상호 확인이 되기 때문이다.마지막에 키 프린트로 키가 나오는데, 이걸로 키를확인해주면 된다.
cat /Users/로컬/.ssh/id_rsa.pub 라는 파일을 cat 명령어로 읽어보면 파일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 있는 정보가 키 정보이고, 붙여넣어 사용하면 된다.권한 설정이 중요하기 때문에 세 가지 권한 정보를 세팅해준다.
AWS/Docker 실전 클라우드 서버 구축 올인원 패키지 Online. | 패스트캠퍼스
성인 교육 서비스 기업, 패스트캠퍼스는 개인과 조직의 실질적인 '업(業)'의 성장을 돕고자 모든 종류의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No. 1 교육 서비스 회사입니다.
www.fastcampus.co.kr
'DevOp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AWS강의] RDS 설정 (0) | 2021.03.28 |
---|---|
[패스트캠퍼스|AWS강의] RDS 설정 (0) | 2021.03.27 |
[패스트캠퍼스|AWS강의] Jenkins 소개 (0) | 2021.03.20 |
[패스트캠퍼스|AWS강의] 빗버킷 활용 & 빗버킷 소개 (0) | 2021.03.14 |
[패스트캠퍼스|AWS강의] 스프링 프로젝트 세팅 실습 & 빗버킷 소개 (0) | 2021.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