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DevOps

[패스트캠퍼스|AWS강의] Jenkins 소개

by DEV Lee 2021. 3. 20.

수강 클립

Ch03. Jenkins 소개 및 설치 #1

Ch03. Jenkins 소개 및 설치 #1 실습

Ch03. Jenkins 소개 및 설치 #2

Ch03. Jenkins 소개 및 설치 #2 실습


Jenkins 소개 및 설치

젠킨스란 지속적으로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툴이다.

원래는 허드슨 프로젝트로 개발되었다. Continuous Integration툴, 줄여서 CI툴이라 부르기도 한다.

젠킨스가 하는 역할은 Github 혹은 Bitbucket에 올라가있는 소스를 빌드해주고 해당 소스를 컴파일해주어 오류를 감지해주고, 테스트 자동화와 맞물려 사용 가능하다. 개발서버 혹은 운영서버에 배포까지 해 주는 절차까지 가능하다. 또한 500여가지의 플러그인들을 쉽게 인스톨해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자바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에서 빌드하는 환경을 갖출 수 있다. 다양한 언어들을 지원하고 설치해서 해당 컴파일 환경을 만들 수 있다. 정적 코드를 분석하여 코딩 규약을 어겼는지 체크 할 수도 있으며 기본적으로 다양한 테스트 환경에 대해 배포작업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빌드타임을 비롯하여 실행시간, 성능변화 또한 감지할 수 있다. 

 

젠킨스 설치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다.

docker를 활용하여 서버에 직접 설치하는 방법과 로컬호스트(개인컴퓨터)에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그 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있다.

여러명의 배포 관리자가 필요하면 서버에 직접 설치를 하고, 테스트로 여러가지 배포를하고 빌드를 하는 과정을 확인하고자 하면 개인 컴퓨터에 설치를 하여 진행을 하면 된다.

 

젠킨스 서버에 직접 설치하는 방법

hub.docker.com/_/jenkins

 

jenkins - Docker Hub

DEPRECATION NOTICE This image has been deprecated in favor of the jenkins/jenkins:lts image provided and maintained by Jenkins Community as part of project's release process. The images found here will receive no further updates after LTS 2.60.x. Please ad

hub.docker.com

공식으로 Docker를 통해 서버상에 설치할 수 있는 방법이 나와있다.

 

젠킨스를 처음으로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로그인 화면이 나온다.

젠킨스 관리자로 접속하면 젠킨스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로컬 컴퓨터에 젠킨스 호스트를 설치하는 방법

www.jenkins.io/

 

Jenkins

Jenkins – an open source automation server which enables developers around the world to reliably build, test, and deploy their software

www.jenkins.io

이 사이트에서 젠킨스 로컬호스트를 설치 가능하다. 위 사이트에서 다운로드를 눌러 다양한 버전/환경별로 다운이 가능하다.

자신의 OS에 맞는 젠킨스를 설치해주면 된다.

 

맥OS 사용자는 Homebrew를 설치해주면 좋다. Homebrew를 설치하면 Java나 Maven 설치를 할 때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Jenkins의 설치는 간단하다. 맥 환경에서는 brew install jenkins 명령어를 입력하여 설치하면 된다. 이렇게 설치를 했다가 빌드가 잘 안되는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http://mirrors.jenkins-ci.org/osx-stable/ 사이트에서 젠킨스를 다운받아 설치해주면 된다.

 

설치가 끝난 뒤 vi명령어로 ./jenkins/secrets/initialAdminPassword 에서 pull path 경로를 작성하고 엔터를 치면 정보가 나오는데, 이 정보를 Jenkins 웹페이지로 들어가 넣어주어 Jenkins를 unrock해준다.

 

Jenkins는 다양한 플러그인을 제공한다.

오른쪽은 자신이 원하는 플러그인들을 선택하고 사용하고 설치하는 것, 왼쪽은 젠킨스에서 기본적으로 세팅해주는 것을 설치하는 것이다. 우리는 왼쪽으로 설치를 해 보자.

 

설치가 모두 완료되면 Admin User를 등록하게 되어있다. 관리자 정보는 아주 중요하다. 잊어버리지 않게 따로 적어두도록 하자!계정정보를 입력하고 난 뒤 Save and Continue로 다음으로 넘어가자.

 

젠킨스 URL 정보를 입력해준다. 로컬에서는 8080포트를 사용하여 젠킨스를 띄워보겠다 하고 설정한다. 다른 포트를 사용해도 된다. 이 정보는 나중에 젠킨스를 사용하여 정보를 받을때도 중요하고, 다른 곳에서 젠킨스의 정보를 받을 때도 URL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URL 정보도 따로 적어두어 기억해야 한다.

 

이렇게 젠킨스 세팅이 완료되었다.

 

 

 

 

 

AWS/Docker 실전 클라우드 서버 구축 올인원 패키지 Online. | 패스트캠퍼스

성인 교육 서비스 기업, 패스트캠퍼스는 개인과 조직의 실질적인 '업(業)'의 성장을 돕고자 모든 종류의 교육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한민국 No. 1 교육 서비스 회사입니다.

www.fastcampus.co.kr

댓글